오사카부 제17구

덤프버전 : (♥ 0)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마에카와 키요시게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오사카부 제17구
大阪府第17区
||
파일:shuinsen_Osaka17.svg
선거인 수330,263명 (2021)
상위 도도부현오사카부
하위 행정구역사카이시 나카구/미나미구/니시구
국회의원

바바 노부유키



1. 개요[편집]


오사카부사카이시(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 유신회 소속 바바 노부유키.[1]


2. 상세[편집]


2009년까지는 자민당민주당이 번갈아 가며 당선이 되었으나, 2012년 간사이 지역정당인 일본 유신회가 나타난 이후에는 계속해서 유신회 계열 의원이 당선되고 있다. 참고로 오사카부의 남쪽 끄트머리인 17구, 18구, 19구가 유독 유신회 지지세가 강하다.

이 지역구에서 처음 당선된 민주당 니시무라 신고 전 의원은 자민당 극우파 의원들 뺨치는 주장과 망언으로 유명했다. 이후 민주당을 떠나 일본 유신회 후보로 지역구 대신 비례대표 명단에 올라 당선되었으나, 위안부 관련 망언으로 보수성향인 유신회에서도 제명되어 차세대당에 입당했다가 2014년 제47회 총선에서 낙선한 이후 정계를 은퇴했다.

자민당의 경우, 오카시타 노부코 전 의원의 은퇴 이후, 아들인 오카시타 쇼헤이 전 의원이 지역구를 물려받아 계속 출마하고 있다.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 두 번 당선되었으나, 아직 지역구에서 바바 노부유키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아예 비례대표로 부활하지도 못하고 낙선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니시무라 신고72,359표1위


42.69%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타 스미51,454표2위


30.36%비례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마사히로40,337표3위


23.80%낙선
파일:덕주회.png오쿠다 쿠스미5,329표4위

자유연합

3.14%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노부코41,781표1위


23.51%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나베 유타카36,834표2위


20.73%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다치 모토유키33,392표3위


18.79%낙선
파일:자유당.gif니시무라 신고28,345표4위


15.95%비례당선
히라타 타카키28,184표5위

무소속

15.86%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나카키타 류타로9,190표6위


5.17%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니시무라 신고69,861표1위
40.3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노부코52,258표2위
30.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나베 유타카26,236표3위
15.14%낙선
히라타 타카키24,937표4위
14.31%낙선
유효표 수281,653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노부코90,765표1위
43.2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니시무라 신고89,279표2위
42.5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나베 유타카29,732표3위
14.17%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츠지 메구무92,666표1위
43.1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노부코65,054표2위
30.27%낙선
改革니시무라 신고36,650표3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b0e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개혁클럽)]17.0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카모토 켄지20,560표4위
9.57%낙선
유효표 수281,653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바바 노부유키81,663표1위
44.2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노부코52,634표2위
28.50%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니시 테츠지19,895표3위
10.77%낙선[2]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오카 타카요시16,144표4위
8.74%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츠지 메구무11,544표5위
6.25%낙선[3]
오쿠다 쿠스미2,778표6위
1.50%낙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유신당 로고.png바바 노부유키70,196표1위
43.7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쇼헤이63,219표2위
39.3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오카 타카요시27,151표3위
16.91%낙선
유효표 수132,848표투표율
49.90%
선거인 수331,991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바바 노부유키
(馬場伸幸)
일본 유신회65,427
(43.5%)
1위당선
오카시타 쇼헤이
(岡下昌平)
자유민주당58,534
(38.9%)
2위낙선
당선(석패율제)
공명당 추천
후지모토 사치코
(藤本幸子)
일본 공산당26,337
(17.5%)
3위낙선
유효표 수150,298투표율 45.62%
유권자 수337,018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7구
{{{#fff
사카이시 나카구, 미나미구, 니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바바 노부유키94,398표1위
53.6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시타 쇼헤이56,601표2위
31.8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모리 류세이25,660표3위
14.57%낙선
유효표 수176,119표투표율
54.5%
선거인 수330,263인

현역 일본 유신회 바바 노부유키 의원과 자민당 오카시타 쇼헤이 의원이 재대결한다. 이번 선거가 3번째 맞대결이다. 지난 두 번의 선거에서는 바바 의원이 모두 이겼다.

공산당은 모리 류세이 후보를 공천하였고, 입헌민주당이 후보를 안내면서 저절로 공산당 후보로 리버릴 및 좌파 진영이 단일화를 이뤘다.

투표 결과, 유신회 바바 노부유키 후보가 과반을 넘은 득표율로 4선에 성공했다. 자민당 오카시타 소헤이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부활하지도 못하고 낙선했다. 당선 이후, 바바 노부유키 의원은 유신회 공동대표로 취임했다.

당선이 확정된 후 환호하는 바바 노부유키 진영

[1] 일본 유신회의 공동대표이다.[2] 추천[3] 추천